출처 : 스마트 워크 : 낭만 IT 김국현의 제안, 김국현 저
홈서버로 퍼스널 클라우드 완성
이렇게 완성된 퍼스널 클라우드 또는 홈서버에는 세월의 흐름과 함께 엄청난 양의 자료가 쌓여가게 된다.
인터넷 시대가 아니나 다를까, 자료의 팽창 속도는 우리를 압도해올 것이다. 정리는 무모한 일이다. 깔끔하게 폴더를 마련하고 용도와 목적별로 파일명도 붙여가며 정리하고 싶겠지만, 그런 수고는 하지 않는게 좋다. 그런 시간과 노력은 캡쳐도 커넥트도 셀러브레이트도 아니며 무엇보다 정보 생산도 아니다. 정보가 확실하게 있다면 검색에 맡기는 편이 효율적이다. 우리는 감히 웹이 모든 정보를 정리하겠다고 마음 먹지는 않는다. 인터넷과 클라우드의 도래로 이제 나의 정보와 세계의 정보는 점점 모호해지는 시대가 되는 것이다. 폴더이름이나 파일이름에 지나치게 신경 쓸 필요없다. 내가 붙여도 나의 이해이므로 다른 사람들이 보면 또 낯설다. 요즘은 내 컴퓨터의 모든 문서에 대해 전문 검색이 가능하다. 윈도우 내장 검색기능만으로도 특정 단어가 들어있는 자료만 검색해 낼 수 있다.
사진 자료의 디지털 활용술
정보를 색인하는 방법으로 태그가 있다. 이미 윈도우에서는 사진 여러장을 마우스로 드래그한 후 태그를 쉽게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검색이 가능하다. 최근엔 사진을 손쉽게 정리하고 원하는 사진을 끄집어 내기 쉽도록 발전했다. 그중 하나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것인데, 사진을 하나 열고 사람의 얼굴이 인식되면 그 얼굴의 인물을 알려주는 것이다. 인식된 인물에 태그를 걸어두면 그 사람의 얼굴이 자동 인식되어 그 살마이 찍힌 사진은 다 그 인물 태그를 통해 검색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지오 태그(Geo Tag)도 있다. 최근의 폰카 및 일부 디카는 촬영 당시의 GPS 정보를 사진에 삽입해준다. 즉 지구상의 어떤 위치에 찍힌 정보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망라적 캡쳐로 인해 서류 사진도 늘어날 수있다. 그 경우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광학 문자 인식 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질 좋게 찍을 수 있다면 굳이 타이핑하지 않아도 검색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쉽게 OCR의 혜택을 입을 수 있는 도구는 원노트다. 윈노트에서는 삽입된 서류 사진의 글자를 검색할 수 있고, 서류사진의 내용을 텍스트로 복사할 수도 있다. 또 원노트는 윈도우의 기본 검색 엔진에도 통합되기 때문에, 서류나 책의 일부를 복사해두면 그 내용도 검색이 가능해지는 셈이다.
구름위의 다빈치 노트
저자는 다빈치 노트의 대용으로 원노트를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 컴퓨터 양쪽에서 쓸 수 있고, 25GB의 저장공간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펜으로 직접 스케치하는 소중함을 알고 있는 저자에게는 펜 입력이 가장 자연스러운 도구이기도 하다.
원노트 안에는 몇권의 노트북이 있다. 먼저 스마트폰과 싱크되는 그야말로 생생한 '날 정보'의 노트북, 그리고 이 노트북으로 부터 계통을 만들어가며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생각의 노트북, 또 아내와 온갖 정보를 공유하는 생활의 노트북이 그것이다. 노트북을 여러권 따로 두는 이유는 어느 권에 쓰든 정보를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안도감과 커넥트와 셀러브레이트를 위한 정보의 흐름과 계통을 만들어내고 싶은 욕심 때문이다. 정보가 서말이라도 이어야 보배인 것이다.
예전에는 정보를 한 장소에 보관해야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정보 검색이 쉽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여러 주머니를 써도 무방하다. 흡사한 도구로 에버노트를 더불어 쓰고 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웹페이지 캡쳐 등 용도별로 도구는 얼마든지 분화가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다빈치가 된 기분으로 꾸준히 과감하게 구름위 광활한 노트의 망라적 낙서를 시작하는 것이다.
정보는 휴대하지 말고 클라우드에 넣어두자
클라우드라고 하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미 무료로 쓸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이렇게 많다. 아래5가지는 현재 직접 사용중인 것으로 모두 다 쓴다면 외장하드디스크 하나 분량의 용량은 충분히 나올 수 있따. 용량 및 제약 사항은 집필 시점의 것이므로 대부분 PC 와 맥, 스마트폰도 지원한다.